여러분에게 술은 어떤 의미인가요? 술을 주고받으면서 나누는 이야기들, 그날의 분위기 그리고 함께한 사람들은 잘 잊히지 않죠. 술은 주로 인연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듯합니다. 같은 술이라도 누구와 함께 마시는지에 따라 술의 맛도 변하기 마련이니까요.
우리의 조상에게도 술은 단순히 ‘마실 것’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었음이 분명해 보입니다. 지금처럼 술을 파는 곳이 다양하지 않아 직접 술을 빚는 것이 당연했던 시절, 술을 빚으며 들이는 정성과 함께 나누어 마실 사람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술에 담겨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전통주에 대해 알아가는 것은 당시 사람들의 정을 이해하는 좋은 방법이기도 합니다. 이런 마을의 정을 담은 전통주의 매력을 일찌감치 알아보고 마을 사람들과 전통주를 직접 빚는 자리를 마련한 곳이 있습니다.
[주민들을 위한 문화 아카데미 전통주 빚기 준비를 위한 사전 회의]
각 동마다 주민자치회를 운영하는 곳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요즘, 금정동 주민자치회의 평생교육지원분과에서는 전통주가 갖는 역사적 의미와 마을 공동체의 연대감을 고취하는 공동체적 의미에 주목했습니다. 사라질지 모르는 전통주의 흐름을 꼭 나라에서만 보존하라는 법은 없죠. 이들은 머리를 맞대고, 마을 주민들과 함께 전통주 빚기를 체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고민을 거듭했습니다.
[전통주 빚기 체험에 앞서 전통주를 빚는 방법과 과정에 대해 배우고 있는 주민들]
그리고 마침내 여러 사람들의 마음을 모아 전통주 만들기 수업을 시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전통주 재료를 준비하는 과정만으로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첫 과정부터 모두 함께 할 수는 없었지만, 전통주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꼼꼼하게 익히고, 재료를 준비하는 법부터 재료를 배합하는 비율까지 꼼꼼히 배웁니다. 수강하는 주민들의 눈빛에 대단한 열의가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본격적으로 전통주 빚기에 나서는 수강생들]
손과 각종 기구를 꼼꼼하게 소독한 후, 본격적으로 찹쌀막걸리 만들기에 들어갔습니다. 선생님께서 미리 전통 누룩, 개량누룩, 효모를 넣어 발효시킨 ‘수곡’을 준비해주셨고, 찹쌀도 잘 씻고 쪄서 준비해주셨습니다. 수강생들은 이것들을 물과 함께 있는 힘껏 섞어서 효모가 잘 발효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습니다.
생각보다 힘도 많이 들고, 정성도 많이 들어간다는 것을 체험한 한 주민은 ‘마트에서 아무 생각 없이 집어 들던 막걸리에 이렇게 많은 과정과 정성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놀랍다’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잘 섞다보면, 분명 촉촉했던 찹쌀들이 물을 머금어 물이 거의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상태에서, 꼼꼼하게 소독한 발효조에 담아줍니다. 약 10일~12일 동안 발효를 거치면서 1~2회 정도 뚜껑을 열어서 고루 섞어주면 맛있는 찹쌀막걸리를 맛볼 수 있습니다. 집마다 평균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각자 익는 속도와 익은 술의 맛도 다르겠지만 너무 뜨겁거나 차갑지 않게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려 노력하면 술이 상하지 않게 익도록 할 수 있습니다.
[전통주의 맛을 느껴보기 위하여 직접 시음하는 자리를 가진 수강생들. 사진은 시음에 활용된 ‘직접 빚은 막걸리’]
[배합이 완성된 막걸리의 모습]
수강생들이 직접 빚은 막걸리를 시음해보는 자리도 마련되었습니다. 저번 주 수업에서 담아 두었던 찹쌀막걸리를 직접 걸러서 맛보고, 다양한 재료가 추가된 막걸리를 시음해보기도 했습니다. 세균 감염의 우려 때문에 막걸리를 빚으면서는 많은 말을 할 수 없었던 수강생들도 시음을 하면서는 막걸리의 맛과 앞으로 빚고 싶은 술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막걸리를 빚으며 수강생들이 떠올리는 것은 의외로 이 술을 마시고 있는 내 모습이 아니었습니다. 찹쌀막걸리를 옆집 친구에게 선물하고 싶은 사람, 가족들과 함께 맛있는 안주를 만들어 즐기고 싶은 사람 등 다양한 목표가 있었지만 결국 이 술을 함께 마시고 싶은 사람들을 떠올리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주민들끼리 함께 모여서 술을 빚고, 전통주를 함께 나누어 마시는 자리를 마련한 것은, 마을 주민들이 만나서 소통하고 화합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 제안하는 의미도 있습니다. 마을 공동체가 여러 주민들의 협력으로 시너지를 내기 위해서는 회의나 단체 행사도 좋지만, 자발적으로 소모임을 구성하며 자주 이야기를 나누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실제로 이번 프로그램을 준비한 주민자치회 위원은 이 수업이 일회성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마을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폭제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드러냈습니다.
전통을 이으려는 노력은 그 기술이나 문화재 자체를 보존하려는 노력이기도 하지만, 거기에 담긴 가치와 정신을 보존하려는 뜻도 담겨 있습니다. 이번 주민자치회 위원들이 마을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었던 것도 그런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직접 빚은 술이 가진 ‘사람을 모으는 힘’ 그리고 그렇게 모인 마을 공동체가 바꾸어 나가는 마을의 모습은 분명 이전보다 더 아름답고, 살기 좋은 곳일 것 같습니다. 공익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우리 선조들의 전통을 활용한 좋은 사례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미래를 보기 위해서는 과거를 봐야 한다는 말이 있죠. 마을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 여러 논의를 거치려는 노력이 꼭 필요한 지금, 우리 전통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조회수 2199
2022-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