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널들(왼쪽부터 한수연, 박누리, 전진한)과 엄상미 좌장
출판도시 파주의 멋진 공간 지지향에서 열리는 ‘2024 시민기록 컨퍼런스’를 편한 마음으로 기대하고 있던 차에, 세션별 토론 패널이라는 부담스러운 제안을 받게 되었습니다. 4기 에디터로서 두 전문가에게 질문을 던지는 역할이었는데, 발표를 듣기 전에 사전 자료만으로 질문을 미리 뽑아가려니 발표자들에 대해, 또 그분들의 강의안에 대해 공부를 해야 했어요. 당일의 토론이 자료와는 다르게 전개될 수 있으니 예비 질문도 몇 개 더 준비해야 했고요.
접근법을 고민하다가 올해 에디터 활동에 대한 저의 소회를 질문 속에 녹여내 보기로 했습니다. 다음은, 그런 차원에서 비전문가인 제가 전문가 패널들께 드린 질문과 그에 대한 두 분의 답변입니다.
전진한 소장님께
Q. 기록관리 운동의 산증인이시네요. 기록의 당위성과 알권리에 대한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기록은 기념할 만한 치적뿐 아니라 재난과 실책에 대해서도 빠짐없이 모두 남기는 것이라는, 기록의 가치중립성을 강조하셨는데요.
저는 올해 시민사회단체 포럼과 심포지엄 취재를 위해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을 몇 차례 출입했습니다. 국회와 시민사회가 민주주의 복원을 위해 연대하는 그 자리에 여당 국회의원은 한 분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취재하는 저 역시 중립에 서 있진 않았겠죠. 나중에 원고를 제출했을 때, 독자들의 다양한 성향을 고려하여 문장 몇 군데에서 감정을 조금 빼면 좋겠다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예를 들면 ‘예산 삭감을 자행했습니다’ 대신 그냥 ‘예산을 삭감했습니다’로요.
그 일을 계기로 저는 앞으로 원고 쓸 때 가치중립에 좀 더 신경 써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한편으로 과연 우리 공익웹진 독자들은 어떤 성향일까, 얼마나 다양할까 궁금하기도 했는데요.
‘자유’라는 말이 어느 진영의 전유물처럼 되어버렸듯이 어쩌면 시민사회라는 말, 민주주의라는 말, 그리고 공익이라는 말까지도 이미 중립적 가치는 아니지 않을까요? 앞으로 저는 어떻게 하면 좀 더 가치중립적인 원고를 쓸 수 있을까요?
A. 기록관리학에서 처음 배우는 게 바로 ‘책과 기록의 차이’입니다. 제가 항상 시험문제로 내는데, 책은 사유의 산물이고 기록은 행동의 산물입니다. 가치중립적이고 불편부당하다는 것은 무슨 얘기냐면, 여기서의 가치란 어떤 사상이 아니에요. 자기가 행동한 것을 쓰라는 겁니다.
내가 한 행동, 아니면 다른 사람이 한 행동을 쓰는 게 기록인데, 그 기록에 평가가 충분히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 평가도 기록이에요. 같은 사건을 구술하는데 전혀 다르게 평가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그런데 그게 굉장히 중요한 사료가 됩니다. 각자의 기록을 교차검증할 때 충분히 또 다른 기록, 또 다른 창조물이 나올 수 있는 거죠.
그래서 어떤 원고를 쓸 때 내가 지금 행동하는 걸 쓰고 있는 건가, 아니면 내 머릿속에 있는 걸 쓰고 있는 건가, 아니면 내가 평가를 하고 있는 건가, 이것을 구분하면서 쓴다면 좋은 기록이 될 것입니다.
박누리 편집장님께
Q. 로컬을 기록하는 일의 소중함을 잘 들었습니다. 편집장님은 구미에서 태어나 대전에서 언론을 공부하고 옥천에서 15년 가까이 신문과 잡지 발행을 통해 문화운동을 하고 계십니다. ‘잘되려면 서울 가야 한다’는 사회통념을 거부하고 건강한 지역살이 중인 청년의 존재가 정말 귀하게 느껴지네요.
재미있게도 저의 경우는 정반대인데요. 저는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공부하고 신혼생활도 서울에서 시작했습니다. 그러다가 20년 전 남편 직장 따라 화성으로 왔어요. 서울살이를 고집할 필요가 뭐 있나 싶어 망설임 없이 내려왔습니다. 나중에 화성에도 신도시가 생겨서 지금 신도시에 살긴 하지만, 어쨌든 서울로 다시 돌아갈 생각은 전혀 없고요. 오히려 어디까지 더 내려갈 수 있을까를 고민합니다. 좋은 분들 만나서 만족스러운 서울밖살이를 해온 덕입니다.
그런데 서울이 고향인 사람으로서 서울을 좀 변호하고 싶기도 해요. 그 큰 도시를 ‘서울’이라는 한 단어로 묶을 수 있을까요? 서울이 서울밖 사람들에게 어떤 일반화된 이미지로 규정당하는 부분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지금 좋은 공동체 안에서 잘 지내고 있지만, 만약 서울에 계속 살았다면 어땠을까요? 아마 그랬더라도 뜻 맞는 사람들과 재미나게 살았을 것 같습니다. 언젠가 자의든 타의든 다른 곳으로 이주하게 되더라도 거기 가면 또 좋은 이웃들을 만날 것 같아요. 저한테는 어디 사느냐가 아니라 어떤 사람들과 사느냐가 더 중요한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 ‘서울 가야 잘 된다’는 말에서의 서울은 특정 지역이라기보다 서울로 대표되는 중앙의 권력이나 힘을 의미하죠. 저는 사실 서울에서 계속 사는 게 좋지는 않다고 생각해요. 지금 한국 사회는 모든 게 너무 중앙에 집중돼 있잖아요. 우리가 이걸 바꾸려면 서울 사는 사람들이 좀 흩어져야 되는데, 모두가 그런 선택을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고 그들을 비난하려는 건 물론 아닙니다.
저도 지금 제가 하는 일이 없었으면 지역에 못 살았을 것 같기도 해요. 이 일이 제 삶의 중요한 파트너고 좋은 이웃이자 동료이기 때문에 사는 거지, 무조건 지역에 살아야 된다는 생각으로만 살았다면 당연히 힘들었을 거예요. 내가 어떤 이웃들과 살고, 그 공동체 속에서 내가 어떤 사람인가가 사실은 제일 중요하죠. 내 이웃과 연결되는 순간 그 자체가 작은 공동체, 작은 지역사회가 되는 거잖아요.
그런데 옥천 같은 농촌 지역에서 이런 일들이 훨씬 쉽게 되는 경향은 있어요. 옆집에 누가 사는지 알지 못하는 동네가 아니기 때문에, 누가 노력해서 만든 게 아니라 옛날부터 있었던 어떤 연결의 감각이 여전히 남아 있거든요. 그런 감각을 서울이나 수도권 안에서도 깨워 나갈 필요가 있어요. 제가 지역에서 하고 있는 활동도 그것과 맥이 닿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좌장을 맡은 엄상미 연구원은 ‘누가 기록하느냐에 따라 굉장히 다양한 기록이 생산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지역에서건 로컬리티와 커뮤니티를 놓지 않고 살 때 우리 삶터에 대한 의미가 살아난다’라는 두 문장으로 위의 질의응답을 정리해주셨습니다.
공익기록 안에서 우리 사회와 나를 돌아보다
세션토론을 준비하면서 문득 2018년 대히트를 쳤던 김영민 교수의 칼럼이 떠올랐습니다. ‘추석이란 무엇인가’ 다들 아시죠? 그 칼럼을 여기에도 대입해 봅니다. 공익이란 무엇인가. 시민이란 무엇인가. 기록활동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컨퍼런스란 무엇인가. 토론이란 무엇인가. 전문가란 무엇인가. 비전문가란 무엇인가.
우리가 기록의 힘은 많이 이야기합니다. 어떤 것이 영영 사라지기 전에 기록되어서 누군가에게 전달되고 이어질 때의 생명력, 그 의미를 부정할 사람은 없을 거예요. 그런데 제가 나이 탓인지 요즘은 ‘잊혀진다는 것’을 많이 생각하게 됩니다. ‘잊혀질 권리’라는 말도 있잖아요. 꼭 어떤 사건의 피해자라서가 아니라, 생명이 다하면 기록도 기억도 남지 않고 온전하게 소멸하는 것, 그런 건 어떤가? 그런 것도 괜찮지 않나?
지금은 모든 게 너무 짧은 호흡으로 나타났다가 흘러가버리는 시대인데요. 반대로 오랜 과거의 흔적이 파헤쳐져서 심판대에 오르기도 합니다. 그 개인으로선 그때의 나와 지금의 나가 다를 수 있고, 그 시간 동안 내 가치관과 태도가 얼마든지 변할 수도 있는데 말이죠. 흑역사도 미담도 하나 발굴됐다 하면 우르르 몰려들어 침소봉대하는 이 시대가 그래서 저는 불만이랍니다. 보여주기식 SNS 홍수도 마뜩잖고요. 그런 면에선 확실히 꼰대지요.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데, 차라리 이름도 그 무엇도 남기지 말고 자기 시대를 깔끔하게 마감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사는 건 어떨까요?
아무리 빠짐없이 기록한다고 해도, 기록은 기록생산자의 의도에 따른 선택일 수밖에 없습니다. 기록을 함으로써 기억하는 부분도 있지만, 기록을 함으로써 기억하지 못하는 나머지 부분도 있다. 기록활동 주변을 계속 맴돌면서도 저는 자꾸 그런 생각을 하게 되네요. 김초엽 작가의 단편 <포착되지 않는 풍경>은, 사진 속에 절대 담기지 않고 오직 직접 본 사람들의 마음에만 남는 풍경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공익 기록활동, 어디까지 왔니? 저의 공익 기록활동은 그렇게 ‘마음에만 남기’까지 와 있습니다.
조회수 463
202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