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메뉴열기

밤하늘에 번진 공익의 열기 - "2025 경기도기숙사 행복더하기" 축제 현장 스케치

작성자: 또봉 / 날짜: 2025-11-03 / 조회수: 30
 
 
 
10월의 마지막 주, 가을밤의 선선한 공기가 기분 좋은 어느 날.
저는 한 달 전 우천으로 연기되었던 경기도기숙사 「2025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행복 더하기 축제」에 다녀왔습니다. ‘축제’라는 이름만 들어도 설레는 그곳은 기숙사 입사생뿐 아니라 인근 지역 주민, 가족 단위 방문객까지 함께하는 자리로, 공연·입사생 운영부스·홍보부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채워져 있었습니다.
 
제가 도착한 오후 4시 무렵, 기숙사 잔디광장은 이미 북적였습니다. 무대에서는 한창 음향 체크가 진행 중이고, 저 멀리서는 수제 문구류 판매, 무알코올 칵테일, 수제비누 만들기 체험, 비즈 식물 등 입사생들이 보기만 해도 기대되는 입사생 운영 부스들이 분주히 준비되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공연을 기다리며 자연스럽게 주변 부스를 둘러보고, 잔디 위를 걷는 발걸음마다 웃음소리와 음악이 스며들어 축제의 시작을 알리고 있었습니다.
 
 
 
도민축제 입사생 부스 전경 / 출처 : 에디터 직접 촬영
 
 
그중에서도 단연 눈에 띄던 부스는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 부스였습니다. 화려한 색감의 룰렛과 다양한 상품이 진열된 센터 홍보부스는 축제 입구에 자리 잡아 방문객들의 눈길을 한눈에 사로잡았습니다.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 부스 / 출처 : 에디터 직접 촬영
 
 
그중에서도 사진의 포스터가 매우 눈에 띄었습니다. 올해 행복 더하기 축제에서 진행된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 홍보부스는 단순한 센터 소개의 공간을 넘어 다음 주 11월 8일에 열릴 「2025 시민기록 컨퍼런스 〈실타래–깁다, 잣다, 엮다, 잇다〉」를 알리는 거점 역할을 하고 있었습니다.
 
웹진을 보시는 여러분들에게도 간단하게 소개 드리자면, 이번 시민기록 컨퍼런스는 ‘시민기록자(에디터)’들의 기록이 예술과 체험으로 확장되는 자리입니다. ‘마음을 깁다’라는 주제 아래, 기록자의 실제 필체를 따라 써보는 필사 체험, 타자기로 엽서를 완성하는 타자기 체험, AI와 대화를 나누며 글을 써보는 대화형 기록 체험, 나무 위에 단어를 새기는 우드버닝 교환소 등 감성적인 체험 부스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또한 공연과 대화를 엮은 이야기 프로그램 ‘생각을 잣다’, ‘서사를 엮다’, 마지막에는 모두가 실타래를 들어 올리는 퍼포먼스 ‘사람을 잇다’까지 이어집니다.
센터는 이번 부스를 통해 “나의 경험이 기록이 되고, 기록이 다시 사회의 변화를 만든다"라는 메시지를 전하며 이번 컨퍼런스가 공익의 현장을 예술로 확장하는 과정임을 알렸습니다.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 부스 / 출처 : 에디터 직접 촬영
 
 
부스에서는 시민기록컨퍼런스를 비롯해 방문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작은 이벤트도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이벤트는 아래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STEP 1. 센터 인스타그램 팔로우 또는 뉴스레터 구독 → 맛있는 간식과 룰렛 기회!
STEP 2. QR코드 스캔 후 시민기록컨퍼런스 사전 신청 둘 다 참여했다면? → ‘꽝 없는 룰렛’ 돌리기 1회 추가 기회!
 
참여자들은 “한 번만 더 돌려보고 싶어요!”라며 즐겁게 웃었고, 룰렛 경품으로는 수건, 샤워볼, 에코백 등 실용적인 센터 굿즈부터 입사생 맞춤형 컵라면과 햇반까지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작은 보상이지만 공익활동을 향한 첫 관심을 끌어내기에 충분했습니다.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 부스 / 출처 : 에디터 직접 촬영
 
 
경기도기숙사 관장님과 수원여자대학교, 수원권선경찰서 등 축제에 협력하는 다양한 유관기관과의 만남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서로의 부스를 방문하며 소개도 들어보고 공연을 소개하고 명함을 나눠가지며 센터와의 앞으로의 협력을 이야기하기도 하였습니다.
 
홍보부스는 행사 내내 많은 사람들로 붐볐습니다. 작은 공간이었지만, 축제 속에서 가장 인기 있는 부스 중 하나였습니다. 취재를 하러 왔던 저도 모든 부스를 체험해 보며 자꾸만 본분을 잊고 재밌게 즐기고 있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모든 부스를 즐겨본 에디터 / 출처 : 에디터 직접 촬영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의 이번 축제 참여는 경기도기숙사와의 협력 관계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2024년 4월, 양 기관은 업무협약(MOU)을 맺고 공익활동 확산을 위한 공동 노력을 약속했습니다. 작년 입사생축제 홍보부스에 이어 이번 축제 참여는 협약의 실질적 성과를 보여주는 현장이었습니다.
 
 
2024년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경기도기숙사 업무협약식 / 출처 :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
 
 
센터는 기숙사 입사생을 비롯해 도민들에게 공익활동을 자연스럽게 알릴 수 있었고, 기숙사 역시 입사생들의 공익활동 참여 기회를 넓힐 수 있었습니다. 특히 센터 홍보부스를 통해 ‘시민기록 컨퍼런스’와 저와 같은 ‘아카이브 에디터’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전하며, 향후에도 경기도기숙사와 지속적으로 함께하며 다양한 이야기들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라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 부스 / 출처 : 에디터 직접 촬영
 
 
저녁 7시 무렵, 무대 조명이 켜지며 축제의 분위기는 절정을 향해 달아올랐습니다. 해병대 시범단과 경기대 응원단 ‘거북선’의 치어리딩으로 시작된 공연은 커다란 환호를 이끌어냈고, 이어 가수 한민우, 아주대 밴드 ‘5분 쉼표’ 등의 무대가 잔디광장을 채웠습니다. 그 밖에도 다양한 경품 추첨 무대가 이어지자, 관객석 곳곳에서 스마트폰을 꺼내 영상을 남기는 모습이 줄을 이었습니다.
 
 
 
해병대 시범단과 경기대 응원단 ‘거북선’의 치어리딩 / 출처 : 에디터 직접 촬영
 
 
무대에서 흘러나오는 음악과 웃음소리가 한데 어우러진 가운데, 센터 홍보부스에도 마지막까지 방문객들의 발걸음이 이어졌습니다. 시민기록 컨퍼런스 포스터를 살펴보고 QR코드를 스캔하는 사람들, 굿즈를 챙기며 부스를 떠나는 사람들, 내가 사는 지역에는 공익활동지원센터가 있을지를 궁금해하며 브로슈어를 한 손에 쥔 채 공연을 즐기는 사람들까지.
 
이번 축제에서 나눈 짧은 대화와 참여가, 누군가의 새로운 공익활동의 첫 장이 되었길 바랍니다.
 
 
 
축제를 구경하는 사람들 / 출처 : 에디터 직접 촬영
 
 
센터는 이번 축제를 통해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다가올 「2025 시민기록컨퍼런스 〈실타래–깁다, 잣다, 엮다, 잇다〉」에서 더 많은 도민과 만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공익활동 현장의 이야기가 시민의 시선으로 기록되고,
그 기록이 예술과 체험으로 확장되는 따뜻한 자리.
 
11월 8일, 경기상상캠퍼스 공간 1986 멀티벙커에서 당신의 마음 한 올도 이 실타래에 엮이길 바랍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