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메뉴열기

[현장스케치]4기 에디터 활동인증서 수여식_이태원참사 북토크

작성자: 연연 / 날짜: 2024-12-20 / 조회수: 426

 

 

기록이 들려주는 외침

 

존엄, 공감, 연결, 기억, 아픔, 외면, 윤리, 동료시민, 유가족, 트라우마, 심리적 외상, 회복, 정의, 고립, 개인, 추모, 이별, 의혹, 국가, 소명, 한계, 불안, 부조리, 상실, 모욕, 연대의 힘... 이런 숱한 단어들이 붙었다, 떨어졌다, 이어졌다, 튕겨나갔다 하며 머릿속을 맴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소위 참사라 이름 붙일 수밖에 없는 재난들을 떠올리면 도덕적, 윤리적으로는 물론이고 합리적, 상식적으로 이해하거나 받아들이기 힘든 일들이 버젓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저히 잊을 수 없는 세월호 참사가 앗아간 앳된 학생들 세대가 청년세대가 되어 이제 막 그들의 꿈을 펼쳐나가려고 하는 시점에 다시 한번 그 세대의 많은 생명을 일시에 잃게 한 이태원 참사는 그래서 더 가혹하다. 세월호 참사 때는 자신의 목숨만 앞세운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가만히 있으라 했고, 이태원 참사 때는 그 좁고 짧은 골목으로 젊은이들이 몰려 생때같은 목숨을 잃게 만들었다. 이는 어처구니없이 비현실적이나 상징적으로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을 잘라내 보여주는 듯하여 섬뜩하다. 상황과 원인은 달랐으나 마치 세월호의 데자뷰인듯 참사 이후 보인 정부와 대통령의 대응, 그리고 그 이후 일어난 일들은 구석구석 비도덕적이고 비겁하고 잔인했다. 생명을 잃은 희생자들과 그 가족, 친지, 친구들의 존엄은 그 어디에서도 존중되지 않았다. 그래서 시작된 싸움이 730일을 넘기고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10.29 이태원 참사 작가기록단은 참사 2주기를 맞아 참사라는 이름 앞에 무너지지 않으려 애쓰는 사람들 곁에서 우리 역시 서로에게 기대어 우리가 듣고 목격한 것을 세상에 알리고자 한다라며 참사는 골목에 머물지 않는다 이태원 참사 가족들이 길 위에 새겨온 70일의 이야기를 펴냈다.

이태원 참사 1주기에 나왔던 기록집 우리 지금 이태원이야 생존자와 유가족이 증언하는 10.29 이태원 참사가 주로 그 자리에 함께 있거나 희생자들의 곁에서 삶을 나눈 그들의 형제, 자매, 친구들의 목소리를 담았다면, 2주기 기록집은 그들의 부모, 친지들의 뼈아픈 외침을 실었다. 또한 멀리서도 들려오는 외국인 희생자의 부모, 친지의 외침도 함께 실렸다. 참사의 문제, 참사를 보는 관점,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에 대한 면밀한 고민을 바탕으로 기획된 순서였음을 두 책을 다 접하면 비로소 알게 된다.

이태원참사 2주기 이후 유가족협의회는 작가기록단과 함께 전국을 돌며 더 많은 시민들과 함께 진실을 찾기 위해 북토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123일 오후 3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 북부 대회의실에서도 북토크가 열렸다. 이날은 특히 경기도 공익 기록활동가들과 함께 하는 자리였고 그만큼 기록의 의미가 깊이 각인되고, 기록이 들려주는 외침이 시공간을 꽉 채워 공명을 불러일으키지 않았나 싶다.

 

123일 북토크 현장 모습

 

이 자리에는 희생자 이주영님의 어머니와 아버지이시자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이시기도 한 이정민님과 작가기록단의 박내현님,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 4기 에디터인 라이언(이경엽)님이 함께 하였다. 라이언님의 사회로 1부에서는 기록활동가 및 참여자 네분이 유가족의 목소리를 대신하여 책 속의 발언을 낭독해주었고 2부에서는 이정민님의 목소리로 궁금한 이야기, 사실을 모르는 사람들이 들어야 할 이야기들을 직접 들을 수 있었다. 이 분의 굵직한 음성 저 아래 가슴 깊이 지난 2년간 끊임없이 반복되었던 무너짐과 일어섬, 절망과 각오, 분노와 삭힘, 냉대와 위로, 투쟁과 극복의 날들을 버텨올 수 있었던 힘이 느껴졌는데, 그 원천은 딸에 대한 절절한 사랑과 손잡은 유가족들과 시민들이 함께 외친 정의에 대한 갈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그 깊이를 감히 누가 알랴?

 

 

                                                                                                    

                                                                                                   

 

작가기록단이 책의 여는 말에 쓴 다음의 소제목들은 각기 다른 유가족들이 들려준 이야기의 핵심을 잘 묶어 표현하고 있다. 낭독을 통해서도, 이주영님의 아버지 이정민님을 통해서도 공통적으로 아픔과 호소, 그리고 그것을 넘는 결기의 외침들을 들을 수 있었지만 아울러 그 안에는 우리 사회에 대한 경고도 담겨있었다.

 

유가족, 슬픔을 껴안고 책임을 걸머진 이들의 연대

유가족, 그 이름 너머

뜻밖의 삶이 우리를 기다린다

 

1주기에 나온 책이 주로 이태원, 할로윈을 왜곡하며 편견과 혐오, 의혹을 부추겼던 프레임에 저항하는 이야기였다면, 2주기에 나온 책은 2년의 투쟁 기록의 타임라인을 따라 유가족들이 그야말로 위에 서있던 기록이라는 작가기록단의 박내현님 설명대로, ‘참사는 골목에 머물지 않는다’, 이 기록집에는 혼자 슬픔으로 무너졌다가 유가족들을 만나며 살아야 할 이유, 싸워야 할 이유를 찾아 힘을 얻어 가는 부모들의 한결같은 고백이 실려 있다. 이들의 물음은 정당하다 못해 뼈저리게 정확하다. 왜 애도하기만도 버거운 유가족들이 국민을 지키고 보살피는 게 책임인 국가의 무능과 무책임을 떠안아야 하는지, 왜 책임을 져야 할 사람들이 오히려 자신들의 잘못을 감추고 회피하기 위해 편법과 무뢰한을 일삼는지, 왜 알 권리, 안전할 권리, 보호받아야 할 권리를 주장하는 피해자들의 존엄을 짓밟고 왜곡하는지, 그것이 무엇을 누구를 위함인지, 피해자가 당연한 조치를 요구하는 과정이 왜 이리 험난해야만 하는지 등등.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이자 이주영 아버지 이정민님의 마무리 말씀은 우리는 포기할 수 없다였다. 희생된 딸, 아들들을 위해서도, 남은 자식들과 앞으로 살아갈 이 땅의 온전한 미래를 위해서도. 그 싸움이 지난할지라도 함께 하는 사람들이 있어 용기를 얻고 힘을 내어 갈 수 있다고, 그런 공감의 확산과 실천에 동참해 주는 분들에게 고맙다고.

 

북토크만으로는 부족하다. 기록집을 읽으면 좀 더 가까이, 깊이 유가족들의 마음과 상황, 문제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혼자 살 수 없는 세상, 언제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르는 세상을 조금이라도 더 잘 사랑하며 살 수 있는 길이 무엇일까? 고통과 슬픔에도 그치지 않았던 730일의 걸음을 유가족들의 목소리를 통해 들으며 답을 찾는다. 재난참사 피해자라는 이름 그 안에는 어떤 아픔과 부당함이 있는지 참사가 물었다, 어디로 나아갈 테냐고라는 질문에 함께 대답할 용기를 가짐으로써 그 답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작가기록단이 유가족들을 인터뷰하여 이런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면 우리는 몰랐을 것이다. 참사가 무엇을 뜻하는지, 희생자들이 어떻게 애도되고 기억되어야 마땅한지, 피해자들은 과연 누구인지, 피해자들의 권리는 무엇인지, 누가 무엇을 어떻게 책임져야 하는지, 우리 삶에서 정말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평범한 사람들이 어떻게 투사가 될 수 있는지, 누가 누구를 어떻게 도우며 살 수 있는지, 인간이 얼마나 존엄한 존재인지, 그 존엄은 어떻게 지켜져야 하는지, 공감이 얼마나 필요한지, 기록이 어떤 힘을 갖는지.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