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메뉴열기

기록활동가 인터뷰 : "기록의 증거, 삶의 풍요로움"_엄상미

작성자: 바람자전거, 참비움 / 날짜: 2024-01-17 / 조회수: 330

 

인터뷰이 : 엄상미 / 인터뷰어 : 강민진

 

 

1. 기록활동가 엄상미는 어떤 사람인가요?

어린 시절 수원 화성 성곽을 놀이터 삼아 뛰어 놀았던 기억이 있고요, 20대 이후에는 화성시민으로 살고 있습니다. 저는 한마디로 어쩌다 기록활동가라고나 할까요? 젊은 시절 직업을 갖게 된 모든 과정에서 정신을 차리고 보면 어쩌다 늘 기록을 하고 있더라고요.

 

2. 기록전문가로서 하셨던 여러 프로젝트가 있을 텐데요, 유독 더 기억에 남고 의미 있다고 생각했던 프로젝트가 있으면 소개해주실 수 있나요?

사실 저는 전문가라는 말을 좀 맞지 않는 것 같아요. 기록을 전공한 것은 아니고, 활동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기록을 하게 된 경우일 뿐이에요. 그동안 여러 프로젝트들이 있었고 돌이켜보면 다 의미 있고, 기억에 남는 작업들이었어요. 가장 최근 프로젝트로 화성시의 여러 마을을 현지답사하면서 주민들의 구술자료를 수집했어요. 그런 과정을 통해서 마을의 고유한 정서와 문화가 형성된 배경을 알게 되지요. 화성시 같은 경우는 지역이 너무 방대하고 또한 다양해서 하나의 지역성으로 설명하기가 좀 어려운 곳이에요. 지역마다 생활양식도 상이하고, 서로 간에 소통할 수 있는 계기들이 많지 않죠. 마을연구 작업을 통해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다 보면, 기록을 통해서 서로 간 소통의 매개가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 면에서 기록은 엄청난 자원인 셈이지요.

 

3. 선생님이 출판하신 책들을 봤어요! 어떻게 제작하게 되셨나요?

구하기 어려운 책들을 보셨다니 놀라운 능력이시군요! 돌이켜보면 그간의 기록 활동 속에서 많은 출판물들을 만들었더라고요. 기록이 비단 책을 만드는 것으로만 한정될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사람들 속에서 전달되고 고유한 결과물로 남을 때 의미가 더 확장된다고 생각해요. 구술자료에 대한 출판물의 경우, 인터뷰에 참여하신 분들은 자신들의 첫 인생기록이라는 점에 큰 의미를 두면서 아주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그런 출판물과 만나게 되는 대중들은 기록을 통해 타인의 삶을 경험하고 공감하며 동시대인으로서의 연대감을 갖게 되기도 하지요. 최근에는 디지털 매체를 이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기록이 이뤄지고 있고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책이라는 물성이 주는 만족감과 디지털 아카이브가 융합될 때 좀 더 지속가능한 기록으로 이어질 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책이라는 하나의 결과물에만 집중하지 말고, 그 원천 자료들에 대해서 어떻게 잘 아카이빙 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할 것 같아요.

 

 

4. 혹시 가장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있으신가요?

누구나 비슷하겠지만 기록 활동을 하다 보면 정말 많은 에피소드들이 생겨요. 잊을 수 없는 일들이 많죠. 기록하기를 잘했구나싶은 순간들이 많아요. 특히 구술작업을 하다 보면 그런 경험을 많이 하게 됩니다. 동탄신도시 건설로 고향 마을을 잃은 주민들의 구술자료 수집을 했을 때였어요. 주민들은 그런 작업에 초대되는 것을 다들 좋아하시고 고마워하시죠. 한 분은 그런 말을 하시더라구요. 태어나면서부터 살았던 집이 없어지고 마을이 다 없어져도 누구 하나 미안하다 사과하는 사람이 없었다, 그런데 이런 작업을 해주니 이제야 원망이 누그러지는 것 같다고요. 기억할 고향이 없어졌는데 그제야 위안이 되더라는 말씀을 하셨어요. 지리학자 에드워드 럴프는 삶의 장소가 없어지는 유실의 경험은 사람들에게 엄청난 상실감을 준다고 하더라고요. 이런 경험을 지닌 분들에게는 기억을 복원하는 기록작업의 의미가 매우 큽니다. 주변부에 있던, 타자화되었던 사람들이 비로소 자기 역사의 주인이 되는 순간들이랄까요?

 

5. 향후 혹시 다른 프로젝트 계획이 있으신가요?

앞으로 하고 싶은 프로젝트가 많이 있죠. 다양한 기록활동이 있겠지만 저는 주로 사람들의 삶을 기록하는 데 더 관심이 많이 갑니다. 사람들의 일상이 이뤄지는 장소에 관한 기록을 좀 더 다양한 각도에서 해보려고 합니다.

 

 

6. 엄상미에게 기록이란 무엇인가요?

기록은 증거이자 재현물이라는 말을 많이 하는데요, 그것과 더불어 기록은 자원인 것 같아요. 우리가 살면서 만들어낸 산물들, 즉 삶의 이야기와 생활의 흔적들, 작은 역사 등 모두가 문화적 자원이라고 생각해요. 이 자원이 다양하게 확장되어서 우리 삶을 더 이롭게, 더 풍요롭게 할 수 있을 거라고 말이지요.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