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햇살이 비치는 자리
햇살사회복지회는 평택 안정리에 있는 작은 단체입니다. 2002년부터 지금까지 20년 넘게 기지촌에서 살아온 여성들 곁을 지켜왔어요.
그분들을 위해 공동식사를 준비하고, 병원에 같이 가고, 연극을 만들고, 노래를 부르며 함께 시간을 보냈습니다. 지금은 대부분 70대, 80대가 된 할머니들이에요.
우리가 쉽게 상상하기 어려운 삶을 살아오셨지만 누구보다 강인하게 자기 삶을 이끌어오신 존경스러운 어른들입니다.
할머니들의 삶은 한국전쟁 이후 기지촌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시작됐습니다. 인신매매로 팔려왔던 분들도 계시고, 가족을 위해, 또는 가정폭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집을 나와 생계를 위해 기지촌에 들어오게 된 분들도 계십니다.
기지촌에서의 삶은 혹독했습니다. 국가의 주도적인 미군 위안시설 운영과 기지촌의 착취구조 속에서 여성들은 성적·물리적·정신적·경제적 폭력을 마주하였습니다. 사회적 낙인과 차별 속에 살아야 했고, 노년에는 외로운 시간을 보내야 했어요.
- 2022년, 법원은 기지촌 여성에 대한 “국가 책임을 인정”
여성들은 오랜 침묵을 깨고 직접 국가의 책임을 묻기 시작했습니다. 2014년부터 기지촌 여성들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고, 마침내 2022년 대법원에서 국가의 책임이 일부 인정되었습니다.
국가가 미군 ‘위안부’ 여성들을 성병관리소에 강제로 수용하고, 페니실린을 과다 투여하며 여성들을 통제·관리한 행위가 명백한 인권침해로 인정된 거예요.
이 판결은 법적인 의미를 넘어, 기지촌 여성들의 삶을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을 바꾼 계기가 되었습니다.
- 문화예술로 지난 세월을 증언하다
연극 <숙자 이야기> / 출처: 햇살사회복지회 홈페이지
“그때는 내가 가슴에 이따만한 돌을 가지고 있어서 무거웠어요. 그래도 햇살 다니면서 많이 나아진 거지.
노지향 선생님이랑 연극하면서부터 이따만한 게 바스러진 거지.... 그건 안 없어져. 지금도 있기는 있어”
-수지-
햇살은 기지촌 할머니들과 함께하며, 그 시간을 기록하고 기억하는 일을 해왔습니다. 제가 가장 인상 깊었던 활동은 할머니들이 함께 만든 연극과 공연들이에요.
"숙자 이야기", "문밖에서", "오프리밋(Off-Limit)" 같은 작품에서는 할머니들이 직접 무대에 올라 자신의 이야기를 연기했습니다.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했던 시간을, 연극이라는 매개로 함께 꺼내 놓는 일이었습니다.
무대에 선 할머니들은 상처만 품은 존재가 아니었어요. 그 시간은, 삶의 조각들을 스스로 마주하고 말할 수 있게 해 준 시간이었습니다. 자신의 이야기를 주체적으로 풀어낼 수 있는 용기를 얻으며, 피해자로만 기억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세상에 전할 수 있었어요.
- 기지촌여성평화박물관 '일곱집매'
이런 흐름 속에서 햇살은 2021년, ‘기지촌여성평화박물관-일곱집매’를 열게 됩니다. 평택 기지촌 안에 있는 작은 박물관이에요. 한 할머니가 기부한 땅과 담보대출, 그리고 여러 단체의 지원으로 문을 열 수 있었습니다. 햇살은 이 박물관을 통해 기지촌의 역사를 다음 세대와 이어가고 있어요.

경계 없는 마라톤 / 출처: 에디터 촬영
지난 10월 18일, “경계 없는 마라톤” 행사가 열렸는데요. ‘마라톤’이라는 말이 붙었지만, 함께 산책길을 걸으며 기지촌이라는 공간을 새롭게 바라보는 프로그램이 있었어요. 전시와 함께 응용연극 워크숍, 지역 예술가들과의 네트워킹 파티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날 기지촌 할머니 한 분이 직접 샌드아트를 연습해서 공연도 하셨답니다!
- 당신의 일상으로 박물관을 초대할게요
이날은 "그랜드마 햇살 가든"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전시와 후원 프로젝트도 시작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후원이 아니라, 할머니들이 직접 그린 그림을 키링, 티코스터, 책갈피 같은 굿즈로 제작해 ‘당신의 일상으로 박물관을 보내는’ 시도예요. 박물관이 평택 외곽에 있어 많은 사람들이 쉽게 방문하기 어렵다는 점, 그리고 기지촌의 이야기를 더 가까이에서 나누고 싶다는 고민이 담겨 있었죠. 작지만 정성 가득한 물건들로, 기지촌 할머니들의 삶을 가까이에서 마주할 수 있도록 했답니다.
그랜드마 햇살 가든 전시관1(왼), 그랜드마 햇살 가든 전시관(오) / 출처: 에디터 촬영
전시관에는 할머니들의 그림과 함께, 할머니들의 이야기가 문 건너편에 적혀있었어요. 그리고 관람객들도 소망의 열쇠를 걸어두는 참여 예술도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마치 제 열쇠로 할머니들의 마음 문을 열고 들어가는 것만 같았어요.
할머니 작품 – 경희의 집 中(왼), 굿즈-경희의 귀염둥이, 강아지 까미(오) / 출처: 에디터 촬영
저는 할머니 작품 ‘경희의 집’에 등장한 강아지 까미를 데려왔어요. 기지촌 할머니들의 작품이 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기지촌 여성과 세상을 연결하는 다양한 공익활동이 이어지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