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메뉴열기

공익웹진

  •  

    ‘6.15 공동선언실천 경기중부본부에서 40여 명의 회원이

    통일 힐링 걷기의 일환으로

    교동도(강화도 소재) 평화기행을 하였다.

     

    ‘6.15 공동선언실천 경기중부본부는 안양,군포,의왕 지역 시민이

    평화와 통일 열망을 담아내고자 하는 기치로 6.15남북공동선언 이후

    선언이 제대로 이행되어 한반도 평화와 남북공동 번영 및 통일로 나아가야 한다는 취지로

    지역주민과 정당, 종교, 시민사회단체가 폭넓게 참여하는 조직이다.

     

    통일 힐링 걷기의 주목적은 반전 자주평화이다.

    매년 4월에 시작하여 연중 계속 행사가 진행된다.

    주요내용은 두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는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매주 6만보를 걷고 평화 인증샷을 공유하며, 두 번째로는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오전에 다 같이 모여서 걷기를 정례화 하고 있다.

     

    척박한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未知(미지 : 알지 못하는)

    마을을 찾아 나선다는 것은, 삶의 소소한 기쁨이자 나를 재충전하여

    주는 원동력이다.

     

    금번 행선지는 강화도 서북단에 위치한 교동도이며,

    교동도는 한국전쟁(1950.6.25)

    황해도 연백지방 주민 다수가 피난 온 곳이다.

     

    교동도는 고려시대 때부터 왕족의 유배지였다.

    고려 21대 희종 등 무려 다섯 분의 왕이 유배되기도 하였다.

    조선의 10대 나이의 왕, 연산군의 유배지이기도 하다.

     

    교동도 역사기행의 백미는 맛집이 모여있는 대룡시장이다.

    1950~1953년 전쟁 중에 피난 오신 황해도 연백지방 분들이

    고향의 시장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여 시장을 만들었다고 한다.

     

    식당, 다방, 상점, 이발관, 양복점, 방앗간, 철물점 등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모습이 꽤 정겹다.

     

    이곳에 오면 꼭 맛보아야 한다는 연백지방의 아픈 사연이 담긴

    강아지떡은 별미라고 한다.

     

    쌀을 강제 수탈 당하던 일제 강점기 때에, 강아지 모양으로

    만들어 몰래 마을 사람들과 나누어 먹었다고 전해 내려온다.

    교동도는 수도권역 최고의 볼거리가 있는 여행지라고 정평이 나있다.

    맑은 날이면 황해도 연백땅이 보여 실향민들을 눈물짓게 한다.

     

    유유히 흐르는 강을 끼고 남한과 북한을 자유로이 날아다니는

    분단의 아픔을 모르는 갈매기가 되었으면...

     

    정겨운 4월의 훈풍을 온몸으로 느끼며, 애써 슬픔을 감추고

    오늘도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교동도 역사기행의 短想(단상 : 길지 않은 생각)
    아모스

    조회수 102

    2024-06-07
  • 연번
  • 제목
  • 작성자
  • 날짜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