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메뉴열기

공익웹진

  •  

     

    안녕하세요~ 4기 아카이브 에디터 심지입니다. 5월은 가정의 달이었습니다. 가족들과 또 가까운 지인들과 마음 나누는 시간들 잘 보내셨을까요? 오늘은 가정 하면 떼어놓을 수 없는 가사노동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지난 3KBS ‘시사기획 창에서 엄마의 된장국: 가사노동 해방일지라는 제목의 프로그램이 방영되었는데요. 특히 잘 알려지지 않았던 기획노동개념을 소개하였습니다.

     

     

    ● 기획노동 ?

    기획노동은 가족생활 전반에 대한 계획을 짜고 구상을 하고 정보를 모으는 기획과 관련된 노동을 말합니다(ex. 식자재 구매 계획, 아기 식단 짜기, 아기 용품 구입 기획, 양육 방식 기획). 이해를 돕기 위해 시사기획 창에서 인터뷰한 내용을 아래에 담아보았어요    

     

                

    예를 들면 영양제가 떨어졌다든지 기저귀가 떨어졌다든지 식자재가 필요하다든지 이런 거를 계속 체크하게 되면서 머릿속에 가득한 것 같아요.”            

    옷걸이에 걸려 있는 옷들 아이 성장기에 맞춰서 바꿔줘야 되고 계절에 따라서 바꿔줘야 되잖아요.”            

    그간은 학원을 어떻게 할 것인지, 다른 양육자에게 어떻게 돌봐달라고 부탁해야 될지가 고민이었다면 지금은 늘봄 학교라는 정책이 우리 아이에게 어떻게 적용되는 거지? 그 고민도 엄마들의 몫이 된 거에요.”            

    출처: KBS 시사기획 창 엄마의 된장국: 가사노동 해방일지” (2024.03.08. 방영)


                

     

     

    회사를 운영할 때 기획은 보통 핵심 부서의 책임급, 관리자급들이 맡습니다. 가사에 있어서도 의식주, 자녀 돌봄, 가족 간의 교류 행사 등의 유지, 관리를 위해 일정을 짜고 구체적으로 기획하는 건 주로 여성들이 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청소나 육아를 돕는 가사도우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기획노동은 절대로 가사도우미에게 맡길 수 없는 노동입니다. 대체로 집에서는 여성들이 기획노동을 많이 맡고 있고, 가족을 관리하는 책임 역할로 많은 부담을 갖고 있는 현실입니다. 통계청 생활시간조사는 실제 행동을 한 시간만 계산해왔기 때문에 정보를 수집하고 계획하는 기획노동은 결과적으로 누락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시사기획 창이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2024년 가사노동 실태조사를 새롭게 실시하였습니다. 통계청이 조사하는 가사노동 항목에 기획노동, 관계적 노동, 가족 이동 시간 추가하여 항목별로 조사하였는데요. 그 결과 가사노동 시간(월간)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3배 더 많았습니다. 기획노동에 대한 남녀 격차는 실행노동은 2.9, 기획노동은 3.4배나 되었어요. 이는 기획노동을 빼고는 가사노동의 실제 실태를 정확히 조사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기획노동은 집안 대소사의 결정권력 아니야?

    결정권력과 기획노동은 치환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닙니다. 의사결정이라는 비슷한 개념으로 본다 하더라도, 다른 항목에 비해 유독 가사와 양육 항목에서 여성이 주된 의사결정을 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기획노동이 만약 의사결정권이라는 권력이었다면 다른 모든 항목에서도 여성의 의사결정권이 높아야겠죠?

    취업, 직장이동 항목을 예로 들어 비교해봅시다. 취업, 직장이동의 경우 남편이 의사결정한다는 응답이 여성은 44.5%, 남성은 49.3%인데 반해 가사노동에서 남편이 의사결정한다는 응답은 여성 3.8%, 남성 8.7%로 매우 낮습니다. 이는 의사결정 항목에서도 성역할규범이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며 기획노동은 여성에게 차별적으로 지워진 가사노동과 돌봄노동의 또 다른 측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여전히, 주로 아내가 가사와 돌봄을 분담하는 현실

    여성가족부(2022)의 부부 가사 및 돌봄 역할 분담 조사에 따르면 전적으로 또는 주로 아내가 부담한다는 응답이 68.9%로 가장 많았습니다(반반 부담 26.8%, 남편이 주로 부담 4.2%). 20·30대 부부는 전적으로 또는 주로 아내가 부담한다는 응답이 약 58.8%, 반반 부담이 38.7%이었습니다. 맞벌이라 할지라도 60% 이상(여성 65.5%, 남성 59.1%)전적으로 또는 주로 아내가 가사와 돌봄을 한다고 응답하였습니다. 심지어 여성외벌이 가정의 경우, 절반 이상이 전적으로 또는 주로 아내가 가사와 돌봄을 한다고 응답하였습니다(여성 54.9%, 남성 51.6%).

     

     

     

     

     

     

     

     

     

     

    이 결과는 2019년 맞벌이 가구의 가사노동시간 조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습니다. 맞벌이 가구의 하루 평균 가사노동시간은 남성은 54, 여성은 187분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3.5배 더 많았습니다. 외벌이(남편)일 때는 남성은 106, 여성은 682분으로 여성이 6.4배 더 많았습니다. 평균적으로 남성이 직장에서 더 오래 일하기 때문에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이 상대적으로 길 것이라고 추측한다해도, 외벌이(아내) 가구에서조차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이 남성보다 1.3배 많았습니다(남성 238, 여성 312).

    이와 관련하여 주익현 연구원(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께서 아내 소득 기여도가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에 미치는 효과연구 결과를 근거로 설명해주셨습니다. 일단, 가족 내에서 아내의 소득 기여도가 거의 없을 때 아내의 가사 시간이 길다는 것은 경제학적으로 효용을 최대화시키는 합리적인 행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남편이 외벌이를 하거나, 남편에 비해 아내가 덜 벌고 있고 집에 있는 시간이 많을 때를 말하는 것이지요. 그러나 정말 이상하게도, 아내의 소득이 남편 소득수준보다 높아지는 상황에서 아내의 가사 시간이 다시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아내가 남편보다 소득수준이 높다는 사실이 한국 사회에서 젠더 규범을 벗어나는 일종의 일탈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그러한 일탈을 중화시키기 위해 아내들이 더 많은 시간을 가사 노동에 사용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가사분담을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견해와 가사분담을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다는 실태의 차이가 꽤 큽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가사의 공평분담에 대한 견해는 아내주도(33.3%), 공평(64.7%), 남편주도(2.0%)였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다는 응답은 20%대에 불과했습니다. 인식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만큼 실질적으로도 체감되는 행동의 변화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여전히 여성들에게 지워지는 가사노동, 돌봄노동의 무게를 다루어보았습니다. 기획노동이라는 개념이 조금은 익숙해지셨을까요? 시사기획 창 프로그램이 방영된 이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단어 하나가 숨어있던 개념을 딱 꺼내주었다, 내 노동을 알아봐주었다, 하는 일 없이 바쁘다는 것이 하는 일이 없는 게 아니었다”, “머리가 쉬는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게 기획노동이었다는 반응들이 있었습니다. 이처럼 말로 설명될 수 없던 것이 어떤 이름으로 명명될 때, 말할 수 있는 언어와 힘을 얻게 되는 것 같습니다. 기획노동까지도 평등하게 분담하며 서로 배려하는 가정들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참고자료>

    -KBS 시사기획 창 엄마의 된장국: 가사노동 해방일지” (2024.03.08. 방영)

    -노경혜, 정형옥, 유혜인 (2023). 경기도민 성평등 의식 및 실태조사

    -여성가족부(2022). 2021년 양성평등 실태조사 주요결과 요약

    -주익현(2022). 아내 소득 기여도가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에 미치는 효과

    -e-나라지표. 혼인상태별 및 맞벌이상태별 가사노동시간.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3027(최종검색일: 2024.05.08.)

    -e-나라지표. 가사분담에 대한 견해 및 실태.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3029(최종검색일: 2024.05.08.)

     

     

     

     

     

     

     

     


     

     

    뭐라 설명할 수 없던 그 노동의 이름은 ‘기획노동’
    심지

    조회수 139

    2024-06-14
  • 연번
  • 제목
  • 작성자
  • 날짜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