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이 : 안근철 / 인터뷰어 : 이수정, 이경엽
1. 기록활동가 안근철은 어떤 사람인가요?
‘아키비스트는 객관적이고 중립적으로 작업해야 한다’는 얘기를 많이 하는데, 이는 현실에서 완벽하기는 어려운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지향점이라 생각하고 최대한 가까이 다가가려고 하고, 100% 객관성, 중립성에 대한 스트레스는 안 받으려고 합니다. 좀 더 주관적으로 관점을 가지고 작업하려고 하고 있어요. 그곳의 기록을 가장 잘 아는 것은 누구보다도 그 현장에서 가장 오래 있고 기록을 많이 본 사람들입니다. 그들의 주관성은 꽤 상당한 객관성 및 중립성과 닿아있다고 생각해요.
2. 이번 ‘시민기록컨퍼런스’에 어떻게 참여하게 되셨고, 평소 어떤 기록활동을 하시나요?
저는 세션3 공공프로젝트 발표자로 왔어요. 원래 도시 관련된 공간 기록하는 일을 하기도 하는데, 오늘은 청계천-을지로 사례를 발표하러 왔어요. 청계천-을지로 지역이 서울의 사대문 안 있어서 역사적으로나 산업 생태계로나 잘 되어 있는 지역인데, 재개발이 많이 진행되고 있거든요. 2018년도에 처음 철거가 진행되는 게 눈으로 보였을 때, 같이 동감하는 예술가, 연구자들이 거기 모여서 2018년 겨울인가 그때부터 하다 보니 이렇게 됐는데요. 그때 철거되는 거를 본 지역이 최근에 보면 엄청 높은 주상복합이 들어와서 이제 입주까지 했어요. 그렇게 시간이 좀 됐네요.
그때 그 사례로 재개발 반대활동이나 세입자 관련대책으로 서울시나 중구청에 모여서 요구하기도 하고 집회도 하고 그렇게 관계 맺으면서 거기 계신 분들 되게 오래 만나기도 하고요. 30~40년 동안 한자리에서 일하시기도 하거든요. 그런 내용을 인터뷰도 하고 공간 기록도 하고 그렇게 기록 작업하면서 했었어요. 얘기하고 그러는 기회들이 많았어도 거기에 대해서 좀 더 기록이 되게 하는 작업은 사실 일하시는 분들 모시고 하기가 쉽지 않잖아요. 그분들은 일해야 되는데. 그런데 들어가서 관계 맺고 이러니까 조금은 쉽게, 좀 더 수월하게 기록되고 했던 것 같아요. 이제는 다 개발된 상황이에요.
3. 혹시 기록 관련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있으신가요?
‘마을에 숨어’ 팀에서 둔촌주공아파트 기록활동을 할 때의 일입니다. 아파트단지가 철거되기 전 아파트에 추억이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스탬프 투어의 스태프로 참여한 적이 있었는데, 당시 참여했던 분들의 표정들이 가장 기억에 남아요. 커플룩을 맞춰 입고 왔던 엄마와 딸, 외국에 살다가 한국에 들렀던 분인데 잠시 시간을 내어 왔다고 했던 어떤 분. 장소 애착에 관한 책이나 강연의 글과 말보다 투어에 참여했던 그분들의 표정에서 아파트에 대한 애정을 많이 느낄 수 있었어요.
4. 향후 다른 프로젝트 계획이 있으시다면 조금만 알려주세요
다양한 도시공간 중에 산업시설 및 단지 혹은 도시기반시설에 관심이 많습니다. 이 공간들은 크게 조명은 받지 않거나 도시의 흉물로 인식돼왔지만, 사실은 도시공간이 유지되기 위해 꼭 필요한 공간들이에요. 기존에 서울의 마포 석유비축기지, 당인리발전소, 정수장, 청계천 기계공구상가와 부천 소사의 기계공장 등 아카이빙 작업을 했어요. 서울과 인천 사이의 산업시설을 좀 더 깊게 보고 싶습니다. 고향이 인천이고 현재는 서울에 살아서 좀 더 친숙하고 관심이 가는 것 같아요.
5. 안근철에게 ‘기록’이란 무엇인가요?
‘기록’의 형태를 좀 더 확장해서 생각하고 싶어요. ‘도시 내에서 사람들이 일하고 생활하면서 만드는 주변의 모든 흔적들’이라고 생각해요. 문서, 박물류 들보다 크기를 확장하여 건축물도 기록이 될 수 있어요. 건축물 외부의 장식, 배관, 간판 등도 건축물의 맥락을 설명해주는 요소들입니다.